인공지능 in 네부캠 AI 4기/파이토치

Pytorch 프로젝트 구조 이해하기

제로타이 2022. 9. 28. 10:51

파이토치의 각각의 모듈이 뭐가 있고, 어떻게 적용하는지. 타인이 만들어둔 파이토치 템플릿을 뜯어보며 어떻게 OOP구조가 적용되어 있는지 보자. 

먼저 한가지 명심해야 할 것은 언젠가 주피터를 벗어나야 한다는 것. 우리는 평생 세발 자전거만 타면서 자전거 라이프를 끝낼 수는 없다. 주피터는 분명 유용하다. 대화식 개발 과정이 코드를 친숙하게 하는데 도움을 주며 또 즉각적인 디버깅이 가능하기에 편리한 측면이 분명 많다. 
그러나 개발이 끝나 배포를 하거나, 팀원들과 공유를 하게 되면 상황이 다르다. 재현을 하는 것에서 어려움이 발생하기도 하고 실행순서가 꼬이기도 한다. 그렇기에 코드의 유지보수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언제나 주피터에 안주할 수 없다. 
빠르게 주피터에서 벗어날수록, 코딩 실력은 한다!

이번 강의는 크게 두 가지로 구성되어 있다. 먼저 위에서 말한 템플릿을 다운받아 구성을 살펴보는 것과, 구글 코랩을 vs코드로 여는 방법을 알려주는 것. 구글 코랩은 결국 하나의 가상 컴퓨터가 있는 것이기에 해당 컴퓨터에 vs코드로 원격으로 접속하게 되면 vs코드로 코랩 내부를 건드릴 수 있게 된다. 그렇게 vs코드로 파일을 연 뒤에 그 속에 있는 템플릿을 뜯어보는 방식으로 진행되는데, 이.. 뜯어보는 단계에서부터 내게 쉬운 내용이 아니라 해당 내용을 간단하게 정리해내는 것이 조금 힘들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래서 이 강의는 두고두고 복습하면서 조금씩 머리에 담는 식으로 진행하려고 한다. 

그렇다면, 이것 전에, 코랩과 vs코드를 연결하는 작업을 해보도록 하자.

ipynb파일에서 터미널 명령어를 실행하는 방법

앞에 !와 %를 이용해 터미널 명령을 쓸 수 있는데 이것을 통해 필요한 프레임워크를 다운받고, 깃 저장소를 클론해올 수 있다. 

shell-init: error retrieving current directory: getcwd: cannot access parent directories: No such file or directory

이런 문제가 발생했는데, 이는 원래 해당 터미널을 거치지 않고 파일을 변경하거나 삭제했을 때 발생되는 문제이다. 해당 디렉을 나가면 해결된다! 내가 파일들을 정리한답시고 몇가지 옮기거나 했는데 그때 문제가 발생한 듯하다.

vs코드와 연결하기 위해서는 먼저 ngrok에서 아이디? 토큰을 받아와야 한다. 그 후에 뚱땅거리다보면 

여기까지 보면 성공. 근데 개느ㄹ..

성공할 수 있다! 이것에 대해 자세한 내용은 담지 않겠다. 아마 많이 쓰게 될 것 같은데, 그렇다면 직접 익숙하게 될 부분이라 굳이 적어서 정리하는 과정이 동반될 필요는 없다고 생각했다.

'인공지능 in 네부캠 AI 4기 > 파이토치'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모델 불러오기  (0) 2022.09.29
Pytorch Dataset  (0) 2022.09.28
AutoGrad & Optimizer  (0) 2022.09.28
Pytorch Basics  (0) 2022.09.26
Introduction to Pytorch  (0) 2022.09.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