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제
다른 페이지 스토어에 저장된 exp를 드롭다운으로 띄우기
임베딩 시각화 문제 해결하기 - 유저 쪽은 연령대가 합집합인게 맞다. 직업도 합집합영화는 장르 교집합. 옵션 선택후 임베딩 범위 지정은 선택된 놈들만 작동해야 한다.
사이드 그래프 방식 더 이쁘게 바꾸기. 이름 지정도 제대로 되어 있지 않고, 전부 파이 차트이다.
아이템 장르는 파이차트가 낫다.
보여줄 게 많으니 여백을 더 사용하면 좋지 않을까
초기화를 누르면 아래 페이지도 사라지게
데이터셋 고르는 것도 마찬가지
run을 누르면 위 상호작용은 의미가 없다고 알려주기. 아니면 완전히 비활성화 시키기
리랭킹 목적함수 가로로 만들기알파값 범위 0~1로 지정하기
리랭킹 리퀘 보내기, 결과 받기
결과 받은 것으로 세가지 시각화.
리랭킹에서
유저 지표들 받기.
발표 준비
bpr-mf-0205 201708
리랭킹에 대한 정보들을 간략하게 살펴보고, 마지막으로 deep analysis 페이지에서 선택한 실험에 대하여 심층적인 분석을 진행할 수 있습니다.
(드롭다운을 누름) 앞에서 선택한 실험들 중 하나를 선택하면 유저와 아이템의 사이드 인포메이션과 추가적인 시각화를 제공합니다.
사용자는 크게 두 가지 분류를 나눠서 분석을 진행할 수 있습니다. 먼저 아이템과 관련된 분석을 보시겠습니다.
아이템을 클릭하면 이렇게 3가지 칸으로 나뉘어진 박스가 나오는데, 이 박스를 통해 사용자는 자신이 추가적으로 분석하고 싶은 아이템 군집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첫번째 칸은 아이템 사이드 인포메이션을 선택하는 칸이고, 두번째는 실험으로 도출된 유저-아이템 행렬을 행렬 분해와 차원 축소를 거쳐 2차원으로 시각화한 그래프를 담은 칸입니다. 세번째는 앞의 두 칸을 통해 선택된 아이템들에 대한 사이드 인포메이션을 그래프로 나타낸 칸입니다.
먼저 사용자는 좌측의 칸에서 아이템의 사이드 인포메이션 옵션을 선택하여 중앙과 우측 칸에 해당 조건에 맞는 아이템들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호러를 누르고, 년도를 조절함) 임베딩 그래프에서 초록색으로 칠해진 점들이 바로 선택된 아이템들입니다. 보시다시피 호러 장르에 해당하는 아이템들이 임베딩 그래프에서 군집을 잘 이루고 있는 것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초기화를 누르며) 초기화를 누르면 쉽게 아이템을 다시 선택할 수 있게 됩니다. 사용자는 사이드 인포메이션을 통한 아이템 군집뿐만 아니라 임베딩 그래프에서 원하는 아이템 군집을 선택할 수도 있습니다.(라소로 호러 지역 군집잡기) 사용자가 이렇게 아이템을 선택했을 때 해당하는 아이템들에 대한 사이드 인포메이션이 바로 우측에 시각화되는 것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선택한 군집은 호러가 주류를 이루는 것을 확인할 수 있군요.
(마우스로 아이템이 선택된 갯수를 보임) 선택된 아이템이 이정도 갯수입니다. 이제 RUN버튼을 누르면 선택된 아이템들에 대한 추가적인 분석을 진행할 수 있습니다.
먼저 보여주는 것은 탑 10에 대한 정보입니다. 먼저 인기도를 기준으로 상위 10개의 아이템을 보여줍니다. 그 이후로는 추천된 횟수가 많은 기준으로 상위 10개의 아이템을 보여줍니다. 인기가 많은 아이템이 추천 횟수로는 적은 모습이 나오기도 하고 인기도가 적은데 추천을 많이 받기도 하는 아이템이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예시가 딱 보이는 아이템군을 선택하면 좋을듯.)
다음으로 보여주는 것은 해당 아이템 군을 시청한 유저와, 추천받은 유저에 대한 비교입니다. 좌측부터 유저의 연령대, 성별, 직업에 대한 비교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대체로 비슷한 분포를 가지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여기까지가 한 실험에 대해 아이템 분석을 한 결과이구요, 다음으로 유저에 대한 분석을 보시겠습니다.
(이번에는 lasso를 먼저)아이템과 마찬가지로 사용자가 원하는 유저 군집을 선택하여 추가 분석을 진행할 수 있도록 만들어져 있습니다.
이번에는 임베딩 그래프에서 유저군을 선택하지 않고, 옵션을 선택한 후 바로 넘어가도록 하겠습니다.
옵션에는 유저의 연령대, 성별, 직업이라는 사이드 인포메이션을 통해 유저군을 선택할 수 있구요,(50세 이상의 유저 선택, 성별 여자) 추가적으로 추천받은 아이템 리스트에 대한 정량지표가 낮은 유저들에 대한 옵션도 제공되고 있습니다. 현재는 recall@k를 기준으로 0.5보다 낮은 유저들을 체크할 수 있도록 되어있습니다.
(run 누르기) 이대로 run을 누르게 되면 추가적인 옵션이 등장합니다. 이것은 이전 페이지에서 봤던 리랭킹을 사후 분석 요소로 추가한 것으로 유저에 대한 사후분석은 리랭킹을 통한 분석에 치중되어 있습니다. 사용자는 자신이 원하는 리랭킹 목적함수와, alpha값을 지정하여 리랭킹을 진행할 수 있습니다.
(div_jac와 0.8 입력) 리랭킹 옵션은 이렇게 진행하겠습니다.
이후 리랭크 버튼을 누르면 이에 대한 추가적인 사후분석을 진행하게 됩니다.
첫번째로 보여주는 것은 선택한 유저군에 대해 리랭킹 이후 일어나는 지표 변화입니다. div_jac로 리랭킹을 진행하니 전반적인 정성 지표 값이 올라갔군요. 특히 리랭킹에 사용된 div_jac이 많이 올라간 것이 확인됩니다. 다른 지표들은 소폭 하락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그 다음으로 보여주는 것은 아이템 페이지와 비슷하게 top 10입니다. 리랭킹이 되기 이전 해당 유저들에게 많이 추천된 아이템은 ET, lost ark였습니다. 리랭킹 이후에도 비슷하게 추천이 되는 것이 확인됩니다. 추천이 달라지는 것이 보입니다. 또한 기존에는 추천되지 않았던, 리랭킹을 통해서 새롭게 추천되는 아이템들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보여주는 것은 아이템 장르에 대한 분포 시각화입니다. 첫번째 파이차트는 모든 아이템에 대한 장르 분포입니다. 다음은 선택한 유저들이 여태 봤던 아이템들의 분포이고, 아래는 기존 추천 리스트와 리랭킹된 추천 리스트의 분포입니다. 바뀌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회고 및 다짐
바쁘다 바빠. 머리에 저장을 하면서 할 여력이 없다. 온전히 머리를 굴리는데 모든 정신력을 쏟다보니 당장은 도무지 일기를 쓸 시간이 없다.
'일지 > 네부캠 AI 4기(22.09.19~23.02.14)'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30208수 (0) | 2023.02.08 |
---|---|
20230207화- (0) | 2023.02.07 |
20230202목-이력서 준비 (0) | 2023.02.03 |
20230201수- (0) | 2023.02.02 |
20230130월 (0) | 2023.01.31 |